도시재생 혁신지구 지정 현실성 낮아...他 지자체 재지정까지 최소 6년 소요
![]() |
| ▲배지환 수원시의원. |
배지환 의원은 “2015년부터 영통구청 신청사 건축 관련 논의가 시작되었으나 10년째 지지부진한 논의만 이뤄지고 있다”며 “최근 논의 중인 도시재생 혁신지구 지정 역시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배 의원은 “도시재생 혁신지구는 현재 5곳의 경기도 기초자치단체가 지정된 상황이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동안 경기도 기초자치단체가 지정된 적이 없고, 전국적으로도 2년 연속으로 지정되거나 격년으로 지정된 경우가 없다. 유일하게 2회 지정된 충남 천안시는 2019년 최초로 지정된 후, 추가로 재지정 되기까지 6년이 소요됐다.”며 “수원 영화지구가 올해 도시재생 혁신지구로 지정된 상황에서 수원 영통지구의 도시재생 혁신지구 지정은 희망고문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배 의원은 “허황된 민간투자 유치의 꿈을 버려야 한다”며 “민간투자 후 분양 방식은 사업성 검증도 어려울 뿐 아니라, 분양 수요가 예상보다 낮을 경우 공실 위험마저 존재한다. 결국 영통구청 신청사 건축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방식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신청사는 단순 건축물이 아니라 주민 삶의 질을 좌우할 핵심 기반시설”이라며 “영통구민, 특히 매탄동 주민들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모아 영통구청이 시에 선제적으로 자체 예산 반영을 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배지환 의원은 “노후화된 영통구청사로 인해 영통구민들의 행정편의가 떨어지고 있고, 문화·체육시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복합문화시설이 포함된 영통구청 신청사 건축이 빠르게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고 의지를 표명했다.
[저작권자ⓒ 제주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